수식어? 문장성분의 하나. 관형어 또는 부사어를 합친 말
의존명사와 조사 구분법) '만큼', '대로', '만' 등은 의존명사의 형태와 조사의 형태가 같습니다. 따라서 '만큼', '대로' 등이 문장 안에 쓰였을 때만 판단이 가능합니다. 의존명사? -문장 안에서 홀로 쓰이지 못하는 비자립적 명사 -문장 안에서 관형사나 그 밖의 수식어가 선행되어야만 쓰일 수 있다. -'만큼' 등이 의존명사일 때는 반드시 '만큼' 앞에 관형어(-ㄹ,-을,-ㄴ,-는, -은 등)를 앞세웁니다. 이때 의존명사는 절대 생략될 수 없습니다. -‘~을지라도', '~ㄹ수록', '~을밖에', '~ㄹ뿐더러', '~는바’ 같은 경우는 용언이라도 붙여 써야 합니다. 출처: http://kiss7.tistory.com/677 [키스세븐] -'-것을' 줄인 '걸' -앞말과 띄어써야 함 조사 반면, 조사는 ..
관형사란?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 -조사도 붙지 않고 어미 활용도 하지 않는다. ‘순 살코기’의 ‘순’과 같은 성상 관형사, ‘저 어린이’의 ‘저’와 같은 지시 관형사, ‘한 사람’의 ‘한’과 같은 수 관형사 따위가 있다. 예외) 합성어와 다름. 관형사와 체언은 띄어쓰지만 합성어는 붙여씀(?) 관형어? 체언 앞에 놓여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문장성분(체언을 꾸며주는 문장 성분) 부사어와 더불어 다른 어절의 단어를 장식해 주는 역할 새, 헌, 이, 그, 저, 아무 등과 같이 품사가 관형사인 단어들은 관형어 자리에 들어가 바로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 줍니다. 관형어는 문장 성분이고 (주어, 보어, 목적어 등)관형사는 품사 (명사, 동사, 부사 등) 예시 A. 춘..
-단어의 가장 중심이 되는 형태소를 말한다. -뜻을 나눌 수 없는 한 단위를 의미합니다. 예) 첫(접사)사랑(어근) -> 그래서 명사도 될 수 있음 -어근은 체언의 일부! -합성어나 파생어는 둘로 나누어서 실질적인 부분을 어근이라고 합니다. 곧, 뜻을 갖는 말의 최소단위이다. 말밑이라고도 한다. 이것만으로 어간이 되기도 하고 다른 말과 합쳐져서 어간이 되기도 한다. (참고) 합성어나 파생어는 둘로 나누어서 실질적인 부분을 어근이라고 합니다. '공부 + 하다'로 나뉘는데,'공부'가 명사 어근이고, '-하다'가 접사입니다. 한편 '공부하다'는 '공부하네, 공부한다, 공부했다' 등으로 활용되는데,이때 변하지 않는 '공부하-'를 어간이라고 하고, '-다'를 어미라고 합니다.
문장 안에서 서술하는 역할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 [어간]과 [어미]로 이루어짐
- Total
- Today
- Yesterday
- 혈당
- 년도 영어로 읽기
- 영어 년도
- 영어 시간
- 영어로 시간 표시
- 시간 영어로
- 영어로 시간 표기
- 연도 영어
- 연도 영어로
- 자서전의미
- 영어 연도
- 자서전과회고록
- 자서전정의
- 회고록의미
- 영어로 연도 읽기
- 자서전
- 혈행
- 회고록정의
- 년도 영어
- 회고록
- 회고록과자서전
- 혈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